이번 문서에서는 SUSE를 Lpar에 HMC를 통해 배포해볼것입니다. 전체적인 flow는 다음과 같습니다.
HMC? Hardware Management Console. 하나 이상의 관리 시스템을 구성하고 제어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하드웨어 어플라이언스.
VIOS? Virtual I/O Server. 다른 파티션들에게 I/O자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가상 I/O서버는 물리적 자원을 소유하면서 다른 파티션들에게 I/O자원의 공유를 허가해준다. 특정 OS위에 올라가게 되면 타 App, Service가 같이 올라갈수 없음!
Lpar? Logical partition. 자원을 분할하여 각 자원셋이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게 하는 것. 쉽게 얘기해서 vm. (이름만 다름)
Ctrl+x를 눌러 실행해 줍시다. Installing이 끝나면 다음 사진과 같이 보입니다.
그럼 VNC Viewer를 켜서 접속해봅시다! Server는 lpar7의 ip값, 뒤의 1은 위의 Installation설정에서 입력했던 값, password는 마찬가지로 설정에서 입력했던 password를 입력하시면 됩니다. 편하게 GUI로 나머지 설정을 해보도록 합시다.
처음 접속했을때 보이는 화면입니다. 밑의 agree버튼을 클릭하고 다음으로 넘어가 줍시다.
중간에 multipath설정하겠냐고 뜨는데 no누르고 넘어가겠습니다. >추후에 서술할것<
Registration정보를 입력하고 넘어가면 되지만, 실습용으로 데모를 한것이라서 그냥 스킵하겠습니다.
Add On Product도 스킵! 추가로 설치할 프로덕트들이 있다면 마음대로 하시면 됩니다.
Partition에 관한 정보입니다. Expert Partitioner를 눌러 확인해줍시다.
지금은 /(root)가 sda에 잘 마운트되어있지만 sdb나 다른 디스크에 마운트되어있다면 delete하고 마운트하려는 sda디스크에가서 edit->Mountion Options의 Mount Point를 /로 바꿔주면됩니다.
타임존 설정해주고~!
유저의 정보를 입력해줍니다. (테스트이므로) use this password for system administrator도 체크해줍시다.
다음은 방화벽 설정인데, 옵션 중 Firewall will be enabled(disable)을 클릭해서
다음 사진과 같이 만들어줍니다.
빠짐없이 확인한 후, 설치버튼을 눌러줍시다!
Details탭을 통해 현재 설치 상황을 볼 수 있습니다.
설치가 끝나면 자동으로 재부팅 됩니다. HMC콘솔상에서 재부팅되면서 SUSE에 재로그인하는 화면이 뜨게 되는데, 설치과정에서 지정했던 아이디를 입력해 로그인을 하게 되면 SUSE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당연히 lpar7에 os가 깔렸으므로 HMC를 통해서가 아니라 lpar7에 바로 접속해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